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학부
학부 교과과정
전공기초
학수번호 과목명 세부설명
SOC1002 사회학의 이해 (Understanding Sociology) 사회학에 관한 기초이론과 사회학의 성격을 소개하고 사회학적인 연구태도를 갖도록 한다.
SOC1004 근대사회사상의 흐름 (Currents Of Modern Social Thought) 사회학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사상적으로 이해하고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전공필수
학수번호 과목명 세부설명
SOC2103 사회통계학 (Social Statistics) 사회현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술통계와 추리통계의 기초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그 활용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SOC4121 사회조사분석 (Social Research Practice) 실증 연구를 위한 다양한 기초 조사 분석 방법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방법들을 분석,적용하는 기회를 가진다.

사회학과에서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된 위의 4과목의 경우, 각 교과목의 단위가 3000, 4000단위일지라도 전공선택/전공심화 교과목으로 중복인정은 불가하다. 따라서 졸업요건을 위한 전공선택/전공심화 과목 이수 시 위의 4과목을 제외한 교과목을 따로 수강하여야 한다.
전공선택
학수번호 과목명 세부설명
SOC1003 사회문제 (Social Issues) 특정의 사회현상을 사회문제로 규정짓는 사회조건을 분석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 그 대책을 모색한다.
SOC2105 수리사회학 (Mathematical Sociology) 네트워크 시대의 사회현상을 연구한 눈문 및 저작을 접하고,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온라인 사회현상을 표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네트워크 시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줄 알고, 온라인 네트워킹과 인간성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는 안목을 발전시킨다.
SOC2106 인권과 사회 (Human Right and Society)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국내의 인권관련 단체 및 국제기구에서의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인권에 대한 지식과 성찰을 통해 일상에서의 나와 타자의 인권의식은 물론 권리를 높인다.
SOC3202 사회사상 (Social Thoughts) 주요 사회사상의 내용과 그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배경에 관해서 강의한다.
SOC3204 사회학이론 (Social Theory) 주요 사회학 이론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SOC3302 생애과정과 사회이동 (Life-Course and Social Mobility) 출생, 성장, 경력, 사망 그리고 사회이동의 관찰과 분석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인구변동이 사회 구성원의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한다.
SOC3304 도시공간과사회 (Urban Space and Society) 농촌과 도시의 형성과정을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며, 그것의 변천과정에 관한 여러 이론을 비교하고 검토한다.
SOC3305 해외지역연구(1) (Area Studies(1))
SOC3314 해외지역연구(2) (Area Studies(2))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의 지역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SOC3307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사회구조의 조직적인 측면 가운데서 특히 복합적인 조직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을 소개한다.
SOC3310 노동과여가의사회학 (Sociology of Labor and Leisure) 산업화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배경을 소개하고, 산업화, 사회조직, 가치문제 등에 관해 이론을 검토한다.
SOC3311 문화와사회 (Culture and Society) 문화 사회학적 관점으로 문화와 사회와의 관계성을 구체적인 사례 등을 통해 풀어본다.
SOC3312 한국사회론 (Topics in Korea Studies) 한국 사회의 정치·경제·문화에 관한 다양한 사회학적 분석을 검토한다.
SOC3401 사회변동 (Social Change) 사회변동에 관한 사회학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사회의 동태적 측면을 이해하고 연구 관찰하도록 한다.
SOC3402 동아시아사회비교 (Comparative East Asian Studies)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사회의 제도적·구조적 특징을 역사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 한다.
SOC3404 환경과사회 (Environment and Society)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방향을 모색한다.
SOC3503 정치사회학 (Political Sociology) 정치구조와 정치행위 등을 다른 주요 사회변수와 상관관계에서 분석하고 연구한다.
SOC3601 사회심리학 (Social Psychology) 사회 속의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와 태도, 집단 그리고 행동 등에 관해 강의한다.
SOC3603 가족사회학 (Sociology of Family) 가족의 사회적인 의의와 기능 및 형성과정, 그리고 가족 구성원 상호간의 인과관계와 역할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을 강의한다.
SOC3606 과학기술사회학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과학과 기술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SOC3610 대중문화연구 (Seminar on Mass Culture) 현대사회에 있어 중요한 현상의 하나인 대중문화를 사회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동시에 대중문화에 관한 이론을 심화·학습한다.
SOC3611 성과사회 (Sex Roles in Society) 사회학과 인류학 연구에서 밝혀진 성에 따른 역할 분담과 기질의 차이 그리고 권력 분배의 문제를 다룬다.
SOC3613 예술과사회 (Art and Society) 문학, 미술, 음악, 영화를 포함한 예술 분야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과 분석을 연구한다.
SOC3614 영화과사회 (Film and Society) 날로 영향력을 더해가는 영상매체가 가지는 사회학적 함의를 검토하고, 영상매체와 사회가 갖는 관계를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SOC3701 사회학특강(1) (Topics in Sociology(1))
SOC3315 사회학특강(2) (Topics in Sociology(2)) 사회학의 주요과제 가운데 좀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제들을 선택하여 강의한다.
SOC3702 지리 (Geography) 행위와 구조의 전제 조건인 공간이 인간의 다양한 실천을 통해 생성되고 변화하는 사회적이고 가변적인 것이라는 기초 하에 공간,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분석,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OC3703 북한사회와통일 (North Korean Society and Issues of Reunification) 우리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인 통일문제에 관한 여러 이론과 경험적인 자료들을 검토하고, 가장 바람직하고 현실적인 통일방안을 모색한다.
전공심화
학수번호 과목명 세부설명
SOC3501 사회정책 (Social Policy) 사회발전을 위한 여러 문제점의 발전과 분석 및 검토 그리고 해결을 위한 전략의 모색 등 실제 이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SOC3604 지식. 정보사회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날로 그 중요성을 더해가는 정보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 및 분석들을 검토한다
SOC3704 사회학특강(3) (Topics in Sociology(3))
SOC3705 사회정책의실제(1) (Practice od Social Policy)
SOC3706 경제사회학 (Economic Sociology) 경제현상과 사회구조와의 관련성을 검토·분석한다.
SOC3707 발전사회학 (Developmental Sociology) 제3세계 국가들의 발전과 저발전의 문제를 다룬 이론을 습득하고 한국사회의 발전 문제를 분석한다.
SOC4101 사회연구논문 (Thesis Writing)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연구논문을 작성하도록 한다.
SOC4104 시민사회론 (Topics in Civil Society) 시민사회에 연관된 다양한 쟁점들인 자발적 결사체, 공론장, 시민운동, 시민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SOC4106 현대조직연구 (Contemporary Organization Studies) 현대사회의 주요한 제도적 기초를 구성하고 있는 복잡한 공식 조직들(complex and formal organizations)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OC4108 사회과학방법론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s) 사회과학 방법론에 연관된 중요문제를 다룬다. 가치와 사실의 문제, 이론과 실천의 문제, 방법론적 환원의 문제 등을 다루고 이러한 문제들에 상이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방법론을 비교·연구한다.
SOC4110 의료사회학 (Medical Sociology) 의료 및 관련된 현상과 행위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와 설명을 도모하고, 그러한 연구의 흐름과 배경을 이해한다
SOC4111 문화이론 (Theory of Culture) 문화의 개념 파악과 최근의 문화현상 연구의 이론을 고찰한다.
SOC4204 현대사회학이론특강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현대 사회학에 있어서 중요한 이론의 배경과 논리 그리고 문제점을 소개하고 검토한다.
SOC4303 일과직업 (Work and Occupations) 직업의 사회적 의미 및 직업의 선택을 비롯하여 직업의 과정 및 이동, 직업의 만족도에 이르기까지 직업에 관한 사회학적 탐구를 시도한다.
SOC4501 집합행동과사회운동 (Collective Behavior & Social Movement) 집합적 행동의 형태, 조직 및 전개과정을 다룬 이론을 습득하고 역사적인 사례를 분석적으로 비교·검토한다.
SOC4102 종교사회학 (Sociology of Religion) 종교의 사회적 기초와 기능 그리고 내적인 변화 등에 관한 여러 이론을 살펴본다.
SOC4112 문화연구와문화산업 (Cultural Studies and Cultural Industry) 문화생산자나 문화활동가로서의 커리어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개설되었으며, 문화산업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과 현장경험을 다룬다.
SOC4113 시장과사회 (Market and Society) 생산과 분배 및 소비, 그리고 시장에서 사회구조와 사회제도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SOC4114 사회현장실습(인턴쉽) (Research and Practice(Internship)) 사회학에서 습득한 이론적, 경험적 지식을 현장실습으로 경험한다.
SOC4115 역사사회학 (Historical Sociology) 사회학의 역사적인 측면과 역사의 사회학적인 측면을 역사와 사회변동이란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SOC4116 비교사회학 (Comparative Sociology) 다양한 사회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이론을 고찰하고 몇가지 사례들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SOC4117 현대사회론 (Mordern Society) 현대 산업사회 또는 후기 산업사회의 구조와 변동을 권력, 계층, 문화적인 상징문제들과 연관하여 연구한다.
SOC4118 사회계층과불평등 (Social Class and Issues of Inequality) 사회계층의 구조와 동태에 관한 일반이론을 검토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계층 문제를 분석한다.
SOC4119 법과사회 (Law and Society) 법의 제정과 집행과정에 관련된 사회적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법제도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높인다.
SOC4304 동양사회와사상 (East Asian Thoughts)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사회와 사상의 전통과 혁신의 지성사를 다룬다.
SOC4503 일탈과범죄 (Deviation and Crime) 사회제도나 규범, 가치관 등이 개인의 생활과 의식구조를 어떻게 통제하는가를 연구한다.
SOC4604 지식과문화 (Knowledge and Culture) 지식이나 사상의 형성과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 지식의 사회적 기능과 형성에 관해서 강의한다.
SOC4305 동아시아의대안적근대성 (Other Modernities in East Asia) 서구적인 자본주의 근대화에 대한 대안을 추구했던 동아시아 사회의 경험적 모습을 살펴보고 그 한계와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다.
SOC4702 한국사회의변동과사회사상(Social Change and Thought in the Korean Society) 한국의 전통과 현대사상을 사회학적으로 고찰하고 현대적 해석을 시도해본다. 평등관, 세계관, 인권, 정의관, 개인관, 국가관, 사회개혁론 등을 한국의 전통 및 현대사상 속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서구사회사상과 비교하여 현대적 의미를 조명해본다.
SOC4703 연결망 이론과 분석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 사회문제에 적용한다.
교직과정
학수번호 과목명 세부설명
SOC3832 일반사회교재연구및지도법 (Curriculum Development & Teaching Methods of Social Studies) 중등교육 교과목 중 사회 과목의 교재를 연구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SOC3830 일반사회교육론 (Social Education) 중등교육 교과목 중 사회과목의 교육론을 공부한다.
SOC3831 일반사회논리및논술 (The General Social Studies for Logic and Essay) 중등교육 교과목 중 사회 과목의 논리와 논술에 대해 공부한다.

05학번 이전 학생의 경우 자료실의 <05학번 이전 교과목 종별구분표>를 참조하세요.